Scroll Down
Chairman Suk-Hyun Chung’s career is a remarkable tale of perseverance and success. Starting as one of the first high school graduate recruits at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in the 1970s, he pursued night classes to graduate from Hanyang University. In 1983, he founded Soosan Industries, which has since grown into Soosan Group, encompassing nine subsidiaries. One of its key subsidiaries, Soosan Industries, a comprehensive maintenance solutions provider for power plants, recently achieved a major milestone by winning an exclusive contract for multi-year maintenance service of turbines, turbine valves, and generators for Units 1–4 of the Barakah Nuclear Power Plant in the United Arab Emirates.
원자력발전소는 초고압, 초고속, 초정밀 기계들이 정교한 소프트웨어 시스템하에서 가동된다. 특히 원자로, 가압기, 냉각재 펌프, 증기발생기 같은 주요 설비로 구성된 원자력발전소 1차 계통은 방사선 피폭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4~5중의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엄격한 방사선 관리와 안전 점검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주요 기계 및 설비가 제 기능을 잘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점검, 시험, 검사, 수리를 해야 한다. 이러한 제반 행위를 원전 정비라 부르는데, 그중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는 정비 활동을 예방정비라 한다.
2003년 민간업체 최초로 원자력발전소의 경상예방정비(운전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정비 활동)와 계획예방정비(정지 상태에서 연료 재장전 기간을 이용해 정상운전 중 수행하지 못한 정비 활동 시행)에 참여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수산그룹(구 석원산업). 정석현 회장은 원전의 안전 정비공사가 발전소의 역량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발전소가 완공되면 시운전 정비공사를 거쳐 상업발전을 개시합니다. 운전 시 발전소의 돌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모든 기기와 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전 점검하는 경상정비를 실시하고, 1~2년 후에는 운전을 정지하고 전 시스템을 일괄 정비하는 계획예방정비를 실시합니다. 원자력발전소 정비공사는 발전소의 발전량을 늘리고 수명을 연장하는 핵심적인 업무입니다.”
계획예방정비는 원전이 건설된 이후 계속 시행돼 온 작업이지만,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정비기간을 확대하는 등 보다 강화됐다. 또 최근 원자력 발전이 재조명받으면서 원전 정비 사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가동을 중단했던 원자력발전소를 재가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세계 각국의 원자력발전소 중 상당수가 운영된 지 30년 이상 된 노후 설비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발전소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철저한 안전 정비가 필요하다.
“최근 많은 국가가 현실적인 탈탄소 방안으로 원전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원전 설비가 노후화될수록 고품질의 정비 능력이 요구됩니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죠. 한편, 소형모듈원자로(SMR)는 기존 대형 원자로와는 다른 정비 기술과 체계적인 프로세스 개발이 필요하므로 조속히 전문가를 양성해야 합니다.”
Nuclear power plants operate under extreme conditions, involving ultra-high pressure, speed, and precision machinery, all managed by sophisticated software systems. Among their critical components are the reactor, pressurizer, reactor coolant pump, and steam generator, which make up the primary systems of the plant. To prevent radiation exposure and leaks, these systems are equipped with multiple layers of safety—four to five in total—and require rigorous radiation management and safety inspections. Ensuring that these key machines and systems perform optimally necessitates regular inspection, testing, and repairs. Collectively, these activities are referred to as nuclear plant maintenance, with preventive measures categorized as preventive maintenance.
In 2003, Soosan Group (formerly Sukwon Industry) became the first private company to participate in routine maintenance—carried out periodically during operation—and planned outage maintenance— performed during refueling outages when the plant is planned shut down. Today, the company holds the leading market share in nuclear power plant maintenance. Chairman Suk-Hyun Chung highlights the critical role of safety maintenance in determining a plant’s operational efficiency and reliability : “Once a power plant is completed, it undergoes commissioning maintenance to ensure readiness for commercial operation. During operation, routine maintenance is conducted to preempt sudden failures, while planned outage maintenance involves shutting down the plant every one to two years for comprehensive system-wide servicing. Nuclear power plant maintenance is crucial for enhancing output and extending the plant's operational lifespan.”
While preventive maintenance has always been standard practice, it became even more stringent after Japan’s Fukushima nuclear disaster, with extended maintenance periods and stricter protocols. As nuclear power regains prominence as a sustainable energy solution,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has grown significantly. Many previously decommissioned nuclear power plants are being brought back online, an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world’s nuclear reactors—over 30 years old—are operating with aging infrastructure. Ensuring their safe operation necessitates meticulous maintenance. “Many countries are now shifting their energy policies to expand nuclear power as a practical solution for carbon neutrality. The older the nuclear facilities, the greater the need for high-quality maintenance to ensure long-term stability. Additionally, Small Modular Reactors (SMRs) require a new approach to maintenance, with distinct techniques and systematic processes different from those used for large reactors. It is vital to quickly train experts in these areas,” Chairman Chung emphasized.
국내 원자력발전소 정비공사는 오랫동안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인 한전KPS가 독점적으로 수행해 왔다. 그러다 정부는 정비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경쟁체제를 도입하게 됐고, 이에 수산그룹이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경험을 바탕으로 원자력발전소 정비공사업에 진출했다. 2004년부터 한울 5·6호기 원자력발전소 공동 정비에 참여해 역량을 키운 뒤, 2012년부터 한전KPS와 경쟁입찰을 통해 한울 5·6호기 2차측 단독 정비를 시작했으며, 이후 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2호기, 신고리 3·4호기 등의 정비를 독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수산그룹은 2010년 국내 최초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경상정비를 수주해 현재까지 정비공사를 맡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국내 최대 원자력발전소 계측정비업체인 포뉴텍(현 수산이앤에스)을 포스코로부터 인수해 원자력발전소 종합정비 역량을 보유한 유일한 민간 정비업체로 성장했습니다.”
수산그룹 산하의 발전소 정비 기업인 수산인더스트리는 최고 수준의 정비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용량인 신고리 3·4호기 터빈, 발전기를 단독으로 정비한 기업이다. 또 다른 계열사인 수산이앤에스는 원자로 안전시스템 중 핵심인 MMIS의 설계기술을 보유한 세계 4개 회사 중 하나이며 국내에서는 유일한 업체다. 1900명에 달하는 발전소 정비공사 기술 인력을 확보한 수산그룹은 원자력발전소의 기계, 전기, 제어계측 정비공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민간기업이자 최다 정비 실적을 보유한 기업이다. 그렇기에 2023년 6월 제너럴일렉트릭, 지멘스 등 쟁쟁한 글로벌 기업들을 제치고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4호기에 대한 545억 원 규모의 계획예방정비 공급 계약을 단독 수주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단독 계약은 국내 최초의 성과라 더욱 의미가 크다.
“처음 입찰에 초청받았을 때는 글로벌 기업들과의 가격협상에 이용하려는 것으로 오해해 큰 기대를 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성심껏 입찰 제안서를 준비해 발표했죠. 그 결과 설명을 마치고 돌아온 지 10여 일 만에 계약 협의를 하자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대한민국이 UAE에 원자력발전소 4기를 수출한 이래 처음으로 터빈발전기(T/G)의 계획예방정비공사 5년 계약을 수주한 것입니다. 알고 보니 나머지 대기업들은 초청조차 하지 않고 저희와 바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하더군요.”
수산그룹의 기술력이라면 안심하고 정비공사를 맡겨도 된다고 판단한 것이다. 최근 국내 건설사들의 원전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힘입어 세계 무대에서 국내 원전 정비 기술력을 선보일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정석현 회장은 체코,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대한민국 기업들이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위해 진출하는 곳이라면 정비공사도 수주해 한국의 원전 정비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For a long time, the maintenance work for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exclusively carried out by KEPCO KPS, a subsidiary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The government introduced a competition system to further improve maintenance quality, allowing companies like Soosan Group to enter the nuclear power plant maintenance sector, leveraging their expertise from construction projects. Since 2004, Soosan Group has been participating in the joint maintenance of the Hanul Units 5 and 6 nuclear power plant, building its capabilities. By 2012, it had transitioned to independent maintenance, securing contracts for secondary system maintenance through competitive bidding against KEPCO KPS. Since then, Soosan has independently handled maintenance for key nuclear facilities, including Shin-Kori Units 1-4 and Shin-Wolsong Units 1 and 2. “In 2010, Soosan became the first company in Korea to win a contract for Routine Maintenance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we’ve handled maintenance there ever since. In 2016, we acquired PonuTech (now Soosan ENS), Korea’s largest nuclear power plant instrumentation maintenance company, from POSCO. This acquisition made us the only private company in Korea with comprehensive nuclear maintenance capabilities,” said Chairman Suk-Hyun Chung.
Soosan Industries, a Soosan Group subsidiary, is known for its cutting-edge maintenance expertise and holds the distinction of independently maintaining the world’s largest-capacity turbines and generators at Shin-Kori Units 3 and 4. Another subsidiary, Soosan ENS, is one of only four companies worldwide—and the only one in Korea—with design expertise for the MMIS (Man-Machine Interface System), a critical component of reactor safety systems. With a workforce of 1,900 specialized maintenance technicians, Soosan Group is the only private Korean company capable of providing mechanical, electrical, and instrumentation maintenance for nuclear power plants, boasting the industry's highest maintenance record. This expertise enabled Soosan to achieve a historic milestone in June 2023, beating global giants like General Electric and Siemens to secure an exclusive planned outage maintenance contract worth KRW 54.5 billion for turbines and generators at the Barakah Nuclear Power Plant Units 1-4 in the UAE. This five-year contract, the first of its kind for a Korean compan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was awarded directly to Soosan without competing bids from other major firms.
“When we were first invited to bidding, we misunderstood it as an attempt to leverage our offer in price negotiations with global companies, so we didn't have high expectations. Despite the challenges, we diligently prepared and presented our bidding proposal. About ten days after returning from explaining the results, we received a call to discuss contract negotiations. This marked the first time since Korea exported four nuclear reactors to the UAE that a Korean company secured a fiveyear maintenance service contract for turbine generators (T/G). It turned out that the client had not even invited the other major companies but had chosen to finalize the contract with us directly,” Chung shared.
Given the technology of the Soosan Group, it was determined that it would be safe to entrust them with the maintenance work. Recently, the nuclear power plant exports by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increasing. This trend is expect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showcase the nuclear power plant maintenance technology of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on the global stage. Chairman Chung expressed his ambition to showcase Korea's nuclear power plant maintenance technology to the world by securing maintenance contracts in countries where Korean companies are involved i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such as the Czech Republic, Romania, and Bulgaria.
As nuclear facilities age, the need for high-quality maintenance grows. Maintenance is a key task that boosts power plant output and extends operational life.
정석현 회장은 지난 2월 한양대 원전해체연구센터에 산학협력 연구기금 3억 원을 전달했다. 원전 해체 및 핵폐기물 관련 기술 연구와 교육에 쓰여 인재들이 많이 배출되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소 해체 분야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뚜렷하게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이 없습니다. 이제부터 기술 경쟁이 시작될 분야입니다. 따라서 이를 위한 인재 양성과 기술 개발이 시급해요. 한양대는 원전 해체와 관련된 연구와 교육에서 우수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니 산학협력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성과가 창출되리라 기대합니다.”
더불어 단기간 내 기술을 갈고닦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시켜 온 원자력발전 기술처럼 특화된 기술을 보유한 우수한 인재와 기업이 많이 양성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자를 존중하는 기업으로, 최고의 인재를 키우고 특화된 기술 개발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정석현 회장. 인터뷰 말미, 그는 한양대 후배들에게 진심 어린 당부의 말을 전했다.
“세상에 없는 새로운 기술, 세상에 없는 새로운 비즈니스를 향해 과감하게 도전하십시오. 앞으로 다가오는 세상은 스스로 도전해서 새로움을 창조해 낸 자들이 독점하는 세상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젊은이들을 보유한 국가만이 부민강국을 이룰 것입니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꾸준히 전진할 때 후손들이 긍지와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는 멋진 선도 국가가 될 수 있습니다.”
In February, Chairman Chung donated KRW 300 million to the Hanyang University Nuclear Decommissioning Research Center for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Research Fund. The funds are designated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nuclear decommissioning and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with the aim of nurturing talent in these critical areas.
“The importance of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is growing worldwide. However, there is no clear leader in the technology sector yet. This is the field where the technology competition will now begin. This is a field where competition is just beginning, and developing skilled professionals and advanced technologies is urgent. Hanyang University possesses outstanding capabilities in research and education related to decommissioning. I am confident that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will yield meaningful results,” Chung stated. He emphasized the need to cultivate exceptional talent and companies specializing in niche technologies, much like Korea has done with its rapid advancements in nuclear power technology. As a leader who values scientific expertise, Chung reiterated Soosan Group’s commitment to fostering top talent and advancing specialized technologies. At the end of the interview, he shared heartfelt advice for Hanyang University students:
“Boldly challenge yourself to create new technologies and businesses that do not yet exist in the world. The future will belong to those who dare to innovate and bring new ideas to life. Nations that nurture such individuals will be the ones to achieve true prosperity. By continually developing groundbreaking technologies and advancing forward, we can become a leading nation where future generations live with pride and fulfill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