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Down
영국의 대학 평가 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2025 THE 세계대학평가’를 발표했다. 한양대는 지난해 301~350위에서 올해 251~300위로 크게 상승하며 처음으로 200위권에 진입했다. 국내 대학 중에서는 한 단계 상승한 9위에 올랐다. THE는 △교육 여건 △ 연구 환경 △ 연구 품질 △ 국제화 △ 산학협력의 5개 지표를 활용해 가중 평균한 점수로 전 세계 대학 순위를 매겨 발표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기존 ‘논문 피인용도’ 지표 대신 논문 피인용도, 연구 강도, 연구 우수성, 우수 논문 영향력 등 4개 세부 지표를 포괄하는 ‘연구 품질’ 지표가 신설돼 적용되고 있다.
국내 순위 | 세계 순위 | 대학 | 2024 THE 순위 | 2023 THE 순위 |
---|---|---|---|---|
1 | 62 | 서울대 | 62 | 56 |
2 | 82 | KAIST | 83 | 91 |
3 | 102 | 성균관대 | 145 | 170 |
3 | 102 | 연세대 | 76 | 78 |
5 | 151 | 포스텍 | 149 | 163 |
6 | 189 | 고려대 | 201~250 | 201~250 |
7 | 201~250 | 세종대 | 251~300 | 251~300 |
7 | 201~250 | UNIST | 199 | 174 |
9 | 251~300 | 한양대 | 301~350 | 401~500 |
9 | 251~300 | 경희대 | 251~300 | 251~300 |
10 | 351~400 | DGIST | 351~400 | 진입 |
원자력공학과 김상태 교수 공동연구팀이 저등급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해 전기로 변환하는 새로운 상전이 기반 열전갈바닉 에너지 수확 기술을 개발했다.
ERICA캠퍼스 나노광전자학과 김영현 교수 연구팀이 초장보유시간 및 다중레벨셀 구현이 가능한 산화물반도체 및 강유전체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
융합전자공학부 박진섭 교수와 박재근 교수 연구팀이 루테늄(Ru) 기반의 초저전력 시냅틱 멤리스터 소자를 개발했다.
ERICA캠퍼스 화학분자공학과 방진호 교수 연구팀이 수소 생산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산소 발생 반응(OER) 촉매 연구에서 획기적 성과를 발표했다.
ERICA캠퍼스 전자공학부 심상완 교수 공동연구팀이 극초단 시간에 초고도 정밀성으로 광신호를 선택 제어할 수 있는 초고속 빛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
생명공학과 이동윤 교수 연구팀이 식물에서 유래한 엽록체와 특수 펩타이드를 결합해 혁신적인 ‘자가호흡형 산소생산 플랫폼’을 개발했다.
전기 · 생체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임창환 교수 연구팀이 입 주위에 부착한 가속도계 신호를 분석해 화자의 음성을 합성하는 무음 발화 인식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융합전자공학부 최정욱 교수 공동연구팀이 대형 언어 모델(LLM)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두 가지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화학과 최효성 교수 연구팀이 최근 표면개질을 통한 미케노발광(ML) 플랫폼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교수명 가나다순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