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WINTER

VOL. 260

Contents VOL. 260

COVER STORY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며 사회적 거리두기, 비대면 활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유롭지 못한 상황 속에서, 현실의 한계를 뛰어넘는 3차원 가상세계 ‘메타버스’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22년에 더욱 주목하게 될메타버스에 대해 알아봅니다.

Theme
Story

우리의 일상을 뒤바꿀 디지털 초혁신이 온다

The Digital Hyper-Innovation is Coming to Change Our Everyday Life

  • 글 김현지
  • 사진 이현구
  • Writing Kim Hyunji
  • Photograph Lee Hyun-gu
‘열풍’이라 표현할 만큼 메타버스는 세계가 주목하는 화두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2025년이면 전 세계 메타버스 시장이 2800억 달러(한화 약 333조 원) 규모로 성장하리라 전망했다. 현재의 460억 달러(한화 약 55조 원) 규모와 비교하면 무려 6배 이상이다. 국내에서도 메타버스와 관련해 다양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The “craze” for the metaverse is dominating all conversations around the world. The global market research firm Strategy Analytics predicted the global metaverse market size will reach $280 billion by 2025, which is more than six times the current market size of $46 billion. In Korea, various responses to the metaverse are being witnessed.

전시로 엿보는 메타버스의 미래

현실과 가상의 융합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만드는 메타버스는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분야다.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메타버스 경쟁에 뛰어든 이때, 국내 산업의 기술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와 엑스포럼 주관으로 개최된 ‘제1회 메타버스 코리아(Metaverse Korea 2021)’다.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된 이번 전시회에는 플랫폼, 헬스, 게임, 엔터테인먼트, 엔지니어링, 뷰티,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와 메타버스의 접목을 시도한 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

전시회는 메타버스의 네 가지 범주를 볼 수 있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콘텐츠로 구성됐다. 일상을 디지털 공간에 기록하는 라이프로깅, 현실을 디지털로 재구축하는 거울세계, 현실 공간을 바탕으로 가상의 물체와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캐릭터나 아바타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마주하는 가상세계 등이다. 관람객들은 특별 체험관으로 마련된 ‘메타레나(Meta-rena)’ 공간을 비롯해 전시회장 곳곳에서 디지털 휴먼, 가상 세계 K-팝 콘서트, 3D 홀로그램 등 메타버스 기술이 활용된 문화, 관광 콘텐츠 및 각종 산업 제품과 기술을 체험할 수 있었다.

‘메타버스,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를 주제로 한 콘퍼런스도 진행됐다. 국내외 메타버스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관련 기술 트렌드와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였다. ‘메타버스가 우리의 업무수행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업무 생산성을 높일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디지털 네이티브인 MZ세대를 넘어 다음 세대는 버추얼 캐릭터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버추얼 네이티브세대로, 버추얼 휴먼의 영향력은 향후 5년 내 더욱 강력해질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A glimpse into the future of the metaverse through an exhibition

The metaverse, where new possibilities are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s a field with state-of-the-art technologies integrated. At a time when the world’s leading companies are entering the metaverse competition, an event took place to see the technology of domestic industries in person: It was “Metaverse Korea 2021,” cohosted by the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 and EXPORUM. The event was held from October 26 to 29, with the participation of a wide range of companies trying to combinate diverse areas including platform, healthcare, game, entertainment, engineering, beauty, and education with the metaverse.

The exhibition consisted of a wide range of online and offline content related to four categories of the metaverse: “lifelogging,” recording daily life in a digital space, a “mirror world,” a representation of the real world in digital form, “augmented reality (AR),” a technology that enables interaction with virtual objects in the real world, and “virtual reality (VR),” where users can have new experiences through characters or avatars. Visitors could experience culture and tourism content as well as product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etaverse, such as digital humans, virtual K-pop concerts, and 3D holograms, in exhibition halls and Metarena, a special experience hall.

In the event, a conference was also held under the theme of “Metaverse, a New World Opens,” where Korean and foreign metaverse experts gathered and shared their opinions and predictions about the trends and future of the relevant technologies. Together with a prediction that the metaverse will improve our business productivity by bringing innovative changes in the way we work, an opinion was presented that the next generation after the digital-native Gen MZ will be “virtual-native,” familiar with virtual characters, and thus the influence of virtual humans will be stronger within five years from now.

새로운 경제 동력 될 메타버스 분야

메타버스는 전 산업계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런 시류에 발맞춰 지난 11월 9일에는 메타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한국가상증강현실산업협회(KoVRA)와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MOIBA)가 손을 잡고,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K-META)’를 출범시켰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탄생한 민간 주도 메타버스 사업자 단체다.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는 민간의 혁신적 활동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연결하는 가교로서, 메타버스 산업 발전과 생태계 확장을 위한 여러 기반을 다질 방침이다.

11월 18일부터 21일까지, 코로나19로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돼 주목받은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1(G-STAR 2021)’에서도 화두는 단연 메타버스였다. 만석 행렬을 이어간 지스타 콘퍼런스에서는 ‘메타버스’와 ‘블록체인’을 주제로 한 연설이 주류를 이루며 메타버스를 향한 산업계의 관심을 반영했다.

The metaverse to be a new economic engine

The metaverse, which has an influence on all industries, is expected to be a new engine for economic growth in Korea. Jumping on the trend, on November 9, the Korea VR/ AR Industry Association (KoVRA) and the Korea Mobile Internet Business Association (MOIBA) collaborated to found “K-META,” the first privately led organization for metaverse businesses. As a bridge connecting the private sector’s innovative activities and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s, K-META will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industry and the expansion of its ecosystem.

The metaverse was also the hot issue in “G-STAR 2021,” a global game exhibition held offline from November 18 to 21 in two year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t the G-STAR conference with all seats full, the dominant themes in sessions were “metaverse” and “blockchain,” which reflected industries’ deep interest in the metaverse.

캠퍼스+메타버스, 경험의 폭을 넓히다

산업계뿐 아니라 캠퍼스에서도 메타버스는 낯설지 않은 이슈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비대면 수업과 활동이 지속되며, 자연스럽게 디지털 캠퍼스의 필요성에 공감하게 됐기 때문이다. 관련 플랫폼 이용도 계속 확대되는 추세다.

한양대학교 박물관은 ‘우주+人, 과학으로 풀고 예술로 빚다’를 주제로 5월 20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개교 82주년 기념 기획특별전을 선보였다. 전시는 시공간의 한계를 없애는 구성으로 호평을 받았다. 우선 박물관 2, 3층 전시실 공간을 그대로 3D로 구현해 제공했다. 덕분에 마우스를 움직이는 손동작 하나면, 잠옷 차림으로 방에 앉아서도 언제든지 신나는 박물관 투어를 할 수 있었다. 전시실 곳곳을 상하좌우 360도로 돌려가며 작품을 감상하고,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흥미를 더했다. 또 지난 10월 7일에는 기념특별전의 연계 프로그램으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VR 투어가 진행됐다. 힉스 입자를 발견한 CMS 입자검출기와 빅뱅 초기 우주의 상태를 연구하는 ALICE 입자검출기의 주요시설과 실험과정을 살펴보는 등 현실에서는 좀처럼 할 수 없는 진귀한 경험이 이뤄졌다.

이외에도 한양대 속 메타버스 사례는 많다. 2021 한양대 취업박람회가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진행됐고, 경영대학은 메타버스에서 디지털혁신 인재육성교육 개강식을 열었다. ERICA캠퍼스 동아리연합회 ‘이룸’은 메타버스 공간에 민주광장을 재현한 뒤 현실에서처럼 가두모집을 펼친 바 있다. 또 11월 2일부터 4일까지, ERICA캠퍼스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열리는 첫 축제 ‘LUCID’가 온·오프라인 융합 축제로 개최됐다. 캠퍼스 내 실제 민주광장과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 내 가상의 민주광장에서 동시에 축제를 연 것이다. 학생들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오가며 특색 있는 가을 축제를 만끽할 수 있었다.

Campus + Metaverse: broadening experience

Not only in the industrial sectors, but also in campus, the metaverse is not an unusual issue. As remote learning and activities have continued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infectious disease, students and professors have naturally understood the need for digital campus. The use of related platforms keeps expanding.

Hanyang University Museum presented Space + Human (人): Unraveling with Science and Creating with Art, a special exhibition to celebrate the university’s 82nd anniversary, from May 20 to October 30. The exhibition was acclaimed for its structure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he exhibition halls i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of the museum were reproduced online in a 3D space, which allowed visitors to go around the museum with just some mouse clicks whenever they wanted, even when they were wearing pajamas in their rooms. Visitors could view the exhibition halls from every angle and move anywhere they wanted freely. On October 7, the VR tour for CERN, a program related to the exhibition, opened for visitors. The VR tour program provided a valuable opportunity for visitors to look around CMS, a particle detector used to discover the Higgs boson, and the ALICE detector, designed to study the conditions of the early universe, and its experiment process—a unique experience that visitors could rarely have in real life.

Apart from that, numerous examples of the metaverse can be found in Hanyang University. The university’s 2021 JOB Discovery Festival took place in a metaverse platform, and the College of Business held the opening ceremony for its DX Intensive Course in a digital space. The club association of the ERICA campus, Iruum, implemented Democracy Square in a metaverse space and hosted a recruitment event there as it did in reality. And From November 2 to 4, the ERICA campus held its first festival “LUCID” since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both online and offline: in actual Democracy Square in the ERICA campus and virtual Democracy Square in the metaverse platform Gather Town. Students could enjoy a unique autumn festival both online and offline.

영화 속 상상이 현실로?

2018년에 개봉한 <레디 플레이어 원>(원제: Ready Player One)은 2045년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 속에서 암울한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유일한 낙은 가상현실 ‘오아시스’다. 오아시스에 접속하면 누구든 원하는 캐릭터의 모습으로, 어디든 갈 수 있고, 무엇이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진짜 현실 세계보다 가상현실에 더 몰입한 채 살아간다. 주객이 전도된 세상, 또는 삶의 방식이 완전히 다른 세상이다.

하나의 새싹이 자라고 있다. 이 새싹은 언젠가 키 큰 나무가 되고, 자신만의 군락을 이루며, 드넓은 숲을 만들 것이다. 아직은 작은 새싹을 바라보며 우거진 숲을 떠올리는 일. 어쩌면 허황된 상상 같지만, 아예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메타버스라는 새싹이 우리 사회 곳곳, 전 세계에서 자라나고 있다. 그것이 어떤 숲을 이루게 될지, 그 속에서 우리의 일상은 어떻게 변모할지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 하지만 상상을 현실로 만들 거대한 변화는 이미 우리 곁에서 시작됐다.

The imagination in a movie comes true?

The movie Ready Player One, released in 2018, is set in the future of 2045. In the movie, people seek to escape from miserable reality through virtual reality, called “OASIS,” where anyone can go anywhere and do anything as a character that they want to be. For the reason, people live more immersed in virtual reality than in the real world: It is a world where the tail is wagging the dog, or the way of life has completely changed.

A sprout is growing. The sprout will grow to a tall tree, form its community, and eventually make a vast forest. Looking at a small sprout and imagine a thick forest might be nonsensical, but it is not an impossible thing. The sprouts of the metaverse are growing all corners of our society and all around the world. Nothing has been determined yet as to what kind of forest they would make and how our everyday life would change in the forest. But enormous changes are being made around us to turn the imagination into reality.

한양대학교 박물관은 개교 82주년 기념 기획특별전을 선보이며, 시공간의 한계 없이 자유롭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2, 3층 전시실을 그대로 3D로 구현해 제공했다. In a special exhibition to celebrate the university’s 82nd anniversary, Hanyang University Museum provided the exhibition halls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of the museum in a 3D virtual space so that visitors could enjoy artworks without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는 코로나19 이후 열리는 첫 축제를 온·오 프라인 융합 축제로 개최했다. 메타버스 공간에 마련된 축제 공간 ‘꿈빛광장’, ‘루시드’ 이미지.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held the first festival since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both online and offline at the same time. Images of “Dream Square” and “LUCID,” festival spaces in a metaverse platform.